부산 도시철도 1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의 도시 철도 노선으로, 1979년에 계획되어 5단계에 걸쳐 건설되었다. 1985년 범어사역~범내골역 구간을 시작으로 1994년 서대신역~신평역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17년에는 신평역~다대포해수욕장역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 총 40개의 역을 운영하며, 노포역에서 다대포해수욕장역까지 운행한다. 서면역, 연산역, 교대역, 동래역 등에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도시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부산 북부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노선으로 수영역과 대저역을 잇고, 1, 2, 4호선, 부산-김해 경전철, 동해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한국 최초로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했고, 현재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로 운영 중이다. - 부산 도시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부산광역시를 동서 방향으로 운행하는 도시 철도 노선으로, 1999년 1단계 구간 개통 이후 여러 차례 연장 공사를 거쳐 현재 양산역까지 운행하며 향후 연장 계획이 있다. - 199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전철 3호선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고양시를 연결하는 49.6km 광역철도로, 1985년 개통 이후 일산선 직결, 구간 연장, 환승역 개통 등을 통해 확장되었으며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출퇴근 시간 혼잡이 심하다. - 199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레일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레일은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광역 교통국이 운영하는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6개 노선으로 확장되어 로스앤젤레스 지역의 중요한 대중교통 수단이며, 철도 교통 부활 노력의 일환으로 건설되어 경전철과 급행 지하철 시스템을 포함하고 승객들에게 편리하고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역 교통망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 198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광양제철선
광양제철선은 포스코 광양제철소 인입선으로 건설되어 광양항 개발과 포스코 성장에 기여하며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총 4개의 역을 가진 화물 수송 철도 노선이다. - 198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카이로 지하철
카이로 지하철은 이집트 카이로의 대중교통 시스템이자 아프리카와 중동 최초의 지하철로, 1987년 1호선 개통 후 현재 1, 2, 3호선이 운영 중이며 교통난 해소와 교통 시스템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노선 확장이 계획되어 있고 여성 전용칸 운영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노선 이름 | 1호선 |
한국어 이름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한자 이름 | 釜山交通公社1號線 |
로마자 표기 | Busan Metro Line 1 |
노선 색상 | '#f06a00' |
![]() | |
![]() | |
종류 | 도시 철도 |
운영 체계 | 부산 도시철도 |
상태 | 영업 중 |
기점 | 다대포해수욕장역 |
종점 | 노포역 |
역 수 | 40 |
개통일 | 1985년 7월 19일 (범내골 ~ 범어사) 1986년 12월 9일 (범어사 ~ 노포) 1987년 5월 15일 (중앙 ~ 범내골) 1988년 5월 19일 (토성 ~ 중앙) 1990년 2월 28일 (서대신 ~ 토성) 1994년 6월 23일 (신평 ~ 서대신) 2017년 4월 20일 (다대포해수욕장 ~ 신평) |
소유자 | 부산광역시 |
운영자 | 부산교통공사 |
노선 길이 | 40.4 km |
시설 연장 | 40.7 km |
궤간 | 1,435 mm |
선로 수 | 2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 가공강체가선 |
신호 방식 | ATC/ATO (수동 및 자동 운전) |
영업 최고 속도 | 80 km/h |
하루 이용객 수 | 433,480명 (2011년) |
웹사이트 | 부산교통공사 |
노선 정보 | |
![]() | |
차량 기지 | 노포 차량 사업소 신평 차량 사업소 |
사용 차량 | 현대 로템 BTC 1000 (1세대) 현대 로템 BTC 1000 (2세대) 우진산전 BTC 1000 (3세대) |
2. 연혁
일시 | 내용 |
---|---|
1979년 | 노선 건설 계획 시작 |
1981년 1월 1일 | 부산직할시 지하철 건설본부(현 부산교통공사) 출범 |
1981년 6월 23일 | 1단계 노포역~범내골역 구간 착공 |
1983년 7월 28일 | 2단계 범내골역~중앙역 구간 착공 |
1984년 8월 14일 | 3단계 중앙역~서대신역 구간 착공 |
1985년 7월 19일 | 1단계 범어사역~범내골역 구간 개통 |
1986년 12월 19일 | 범어사역~노포역 구간 개통 |
1987년 5월 15일 | 2단계 범내골역~중앙역 구간 개통 |
1988년 5월 19일 | 3단계 일부 중앙역~토성역 구간 개통 |
1990년 2월 28일 | 3단계 잔여 토성역~서대신역 구간 개통 |
1990년 7월 24일 | 4단계 연장 서대신역~신평역 구간 착공 |
1994년 6월 23일 | 4단계 연장 서대신역~신평역 구간 개통 |
1999년 6월 30일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개통으로 서면역 환승역 추가 |
2005년 11월 28일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개통으로 연산역 환승역 추가 |
2009년 11월 20일 | 5단계 연장 신평역~다대포해수욕장역 구간 착공 |
2010년 3월 1일 | 서대신역, 동대신역, 토성역, 남포역, 중앙역, 초량역, 좌천역, 범일역, 부전역, 연산역, 명륜역, 장전역, 구서역, 남산역, 노포역 15개 역에서 동 삭제, 교대역과 부산대역 2개 역은 ~대앞역에서 ~대역으로 역명 변경 |
2011년 3월 30일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개통으로 동래역 환승역 추가 |
2012년 8월 27일 | 대티역 부근 운행 중이던 차량 화재 발생, 승객 약 40명 병원 후송[8] |
2014년 10월 1일 | 전 역에 스크린도어 설치 완료 |
2016년 1월 11일 | 다대포해수욕장 - 신평 간 역명 결정[9] |
2016년 12월 1일 | 신형 차량(2세대 1000계) 도입 |
2016년 12월 16일 | 다대포해수욕장 - 신평 구간 종합 시운전 시작 (~2017년 1월 13일)[10] |
2016년 12월 30일 |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으로 교대역 환승역 추가 |
2017년 2월 7일 | 다대포해수욕장 - 신평 구간 영업 시운전 시작 (~2017년 3월 17일, 연장 구간 회송 처리)[10][11] |
2017년 2월 12일 | 당리역 부근 터널 내 환풍기 교체 중 열차와 충돌, 신평 - 서대신 간 운행 중단[12] |
2017년 3월 22일 | 다대포해수욕장 - 신평 구간 개업일 결정[13] |
2017년 4월 5일 | 다대포해수욕장 - 신평 구간 무료 시승 행사 개최 (~2017년 4월 14일, 초청장 소지자에 한해 9시~18시)[14] |
2017년 4월 13일 | 다대포해수욕장 - 신평 구간 준공식 개최[15] |
2017년 4월 20일 | 5단계 연장 신평역~다대포해수욕장역 구간 개통(14시 다대포해수욕장역 개업식, 16시 운행 시작)[14] |
2. 1. 건설 및 개통
1981년 1월 1일 부산직할시 지하철 건설본부(현 부산교통공사)가 출범하였다.[5] 1981년 6월 23일 1단계 노포역~범내골역 구간이 착공되었고,[5] 1983년 7월 28일 2단계 범내골역~중앙역 구간,[5] 1984년 8월 14일 3단계 중앙역~서대신역 구간이 착공되었다.[5]1985년 7월 19일 1단계 범어사역~범내골역 구간이 개통되었고,[5] 1986년 12월 19일 범어사역~노포역 구간이 개통되었다.[5] 1987년 5월 15일 2단계 범내골역~중앙역 구간이 개통되었다.[5] 3단계는 일부 구간과 잔여 구간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1988년 5월 19일 중앙역~토성역 구간이,[5] 1990년 2월 28일 토성역~서대신역 구간이 개통되었다.[5]
1990년 7월 24일 4단계 연장 서대신역~신평역 구간이 착공되어,[5] 1994년 6월 23일 개통되었다.[5]
2009년 11월 20일 5단계 연장 신평역~다대포해수욕장역 구간이 착공되었다.[6] 당초 2013년 말 개통 예정이었으나,[23] 2017년 4월 20일 개통되었다.[14] 5단계 구간은 '''다대선'''이라고도 불리며, 동매역, 장림역, 신장림역, 낫개역, 다대포항역, 다대포해수욕장역 6개 역이 신설되었다.[21]
2010년 3월 1일에는 1호선 역명이 개편되어 서대신역, 동대신역, 토성역, 남포역, 중앙역, 초량역, 좌천역, 범일역, 부전역, 연산역, 명륜역, 장전역, 구서역, 남산역, 노포역 15개 역에서 '동' 자가 삭제되었고, 교대역과 부산대역은 '~대앞'역에서 '~대역'으로 변경되었다.[7]
2. 2. 환승 및 역명 변경
1999년 6월 30일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개통으로 서면역이 환승역이 되었다.[5] 2005년 11월 28일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개통으로 연산역이 환승역이 되었다.[5] 2010년 3월 1일 서대신역, 동대신역, 토성역, 남포역, 중앙역, 초량역, 좌천역, 범일역, 부전역, 연산역, 명륜역, 장전역, 구서역, 남산역, 노포역 15개 역에서 '동' 자를 삭제하고, 교대역과 부산대역 2개 역은 '~대앞'역에서 '~대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7] 2011년 3월 30일 부산 도시철도 4호선 개통으로 동래역이 환승역이 되었고, 2016년 12월 30일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으로 교대역이 환승역이 되었다.[5]3. 운영
1호선은 신평역에서 신평 방면 첫차가 오전 5시 5분, 노포역에서 노포 방면 첫차가 오전 5시 10분에 출발한다.[3] 막차는 신평역에 0시 35분, 노포역에 0시 30분에 도착한다.[3] 노선 전체 운행에는 약 1시간 2분이 소요된다.[3]
3. 1. 운행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열차는 노포행과 다대포해수욕장행으로 운행한다. 서면역에서 2호선, 연산역에서 3호선, 교대역에서 동해선, 동래역에서 4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평상시에는 다대포해수욕장·신평발 노포행/노포발 다대포해수욕장행 열차가 운행된다. 상행선(다대포해수욕장 방향)은 대부분 다대포해수욕장행으로 운행하지만, 다음 날 첫차 출발 시각 지연을 막기 위해 막차 시간대에만 신평역에 종착한다.[19] 첫차는 신평발 노포·다대포해수욕장행이며, 막차는 노포발 신평행이다. 오전 5시 이후와 오후 11시 이후 심야 시간에는 환승객 편의를 위해 2호선 서면역과 3호선 연산역에서 열차가 3분간 정차한다.
1호선 운행 시간은 신평역에서 신평 방면 첫차가 오전 5시 5분, 노포 방면 첫차가 노포역에서 오전 5시 10분에 출발한다. 막차는 신평역에 0시 35분, 노포역에 0시 30분에 도착한다. 노선 전체를 운행하는 데는 약 1시간 2분이 소요된다.[3]
3. 2. 운임
부산 도시철도의 운임 체계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성인 카드 기준으로 10km 이내는 1600KRW, 10km 초과는 1800KRW의 운임이 부과된다.3. 3. 역 구조 및 특징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언덕이나 하천 아래를 거의 지나지 않아 역사가 그리 깊지 않은 편이다. 특히 교대역은 지하 1층에 승강장이 있다. 다만 서대신역과 대티역은 대티고개를 지나고 있어 승강장이 깊다. 신평역, 온천천 위를 지나는 동래역~구서역 구간은 지상, 나머지 구간은 지하역으로 건설되었으며, 노포역은 2호선의 동원역이나 4호선의 반여농산물시장역 등과 구조가 비슷한 반지하역으로 건설되었다. 중구, 서구, 사하구 구간의 역들은 자갈치역, 사하역, 당리역, 신평역, 동매역, 장림역, 다대포해수욕장역 등을 제외하면 모두 곡선 승강장이어서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간격이 넓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역 번호: 기점역인 다대포해수욕장역의 95번으로 시작하여 종점역인 노포역의 134번까지 순서대로 1씩 늘어난다. 3호선 개통 이전까지는 과거 기점이었던 신평역을 1번으로 시작하여 종착역 노포역 34번까지 1씩 늘어난 방식으로 매겨졌다. 부산교통공사의 예산 문제로 다대포해수욕장역부터 노포역까지 역번을 5 또는 6씩 올려 노포역을 139번이나 140번으로 바꾸는 대신, 101번 이하를 두 자리 수로 내린 형태를 취하게 되었다. 다대포해수욕장역 방면으로 가는 열차는 상행, 노포역 방면으로 간 열차는 하행이다. 3자리 역 번호에서 100의 자리 숫자는 노선 번호, 10의 자리 숫자와 1의 자리 숫자는 역 번호다.
- 노선 거리(영업거리): 40.4km
- 시설 연장: 40.7km
- 궤간: 1435mm(표준궤)
- 역 수: 40개 역 (기종점역 포함)
- 편성: 8량
- 복선 구간: 전선
- 전철화 구간: 전선 (직류 1500V·가선 집전 방식)
- 지상 구간: 신평역 부근, 동래 - 구서 간, 노포역 부근
- 차량기지: 신평차량사무소, 노포동차량사무소
- 폐색 방식: ATC·ATO
3. 4. 차량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를 운용하고 있다. 스테인리스 외장에 주황색 띠가 둘러진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전동차의 길이는 17m, 폭은 2.75m이고 양 끝 칸은 113명, 중간 칸에는 124명이 승차 정원이다. 대한민국의 다른 통근형 전동차와 달리 한 면에 3개의 출입문(3비차)을 가지고 있어 좌석이 많은 편이다. 현재 8량 1편성으로 운행 중이다.
2018년 4월 20일 기준으로 8량 1편성, 72개 편성, 총 576량이다.[1] 1호선 승강장 스크린도어와 다대포 연장선 승강장이 8량 기준으로 건설되어, 더 이상의 증결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전동차는 두 차례에 걸쳐 반입되었는데, 1단계 개통에선 다대포에서 부산역까진 해상 선박 수송으로, 부산역에서 동래역까진 경부선과 동해남부선 철도로 이동한 다음 노포차량기지까지 트레일러로 운반하였다. 또한 2단계 개통에선 부산진역과 도시철도 부산진역 사이의 연결선을 통하여 이동하였다. 현재 노포차량기지와 신평차량기지에서 검수를 담당하고 있다.
- '''노포차량사업소''' : 1000호대 중 48개 편성, 총 384량 / 중·경검수 담당[1]
- '''신평차량사업소''' : 1000호대 중 48개 편성, 총 384량 / 경검수 담당[1]
1000호대 전동차는 두 종류가 있다.
3. 5. 여성 배려칸
오전 7시부터 오전 9시까지와 오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5호차에 여성 배려칸이 설정되어 있다.[4]4. 역 목록
(몰운대)
(아트몰링)
(사하구청)
(삼육부산병원)
(해동병원)
경부고속선
(동구청)
(부산시민공원·송상현광장)
부전선
(연제)
(한국건강관리협회)
(우리들병원)
(종합버스터미널)